[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알뜰폰 시장의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특이한 점은 투자를 많이 하고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적자가 많고 규모가 작은 사업자는 오히려 흑자를 거두는 모양새다.
알뜰폰 점유율이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10%를 넘어섰다. 11월말 584만8000명이 이동통신 3사 서비스 대신 알뜰폰을 선택했다.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지만 재무적 측면에선 사업자 규모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현재 알뜰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업자는 SK텔링크 등 이동통신 3사 자회사를 포함해 총 38개사. 이 중 대기업 계열로 분류되는 곳은 SK텔링크, M모바일, 미디어로그 등 이통3사 자회사들과 CJ그룹의 CJ헬로비전과 태광그룹의 KCT, 이마트, KT파워텔, 홈플러스, KT텔레캄 등을 꼽을 수 있다.
11월말 기준으로 CJ헬로비전이 84만7434명으로 1위이고 그 뒤를 SK텔링크(84만4639명)가 바짝 쫓고 있다. KT의 M모바일은 29만2000여명으로 7위다. 중소기업이지만 EG모바일이 54만4000여명으로 3위, 유니컴즈(52만8000명), 인스코비·프리텔레콤(44만1000명), 아이즈비즌(41만명)으로 뒤를 잇고 있다.
재미있는 것은 중소사업자들은 이미 흑자를 시연한 반면, 대기업 계열들은 여전히 적자라는 점이다.
대기업 계열 A사의 경우 2012~2014년간 기록한 적자가 무려 1000억원이 넘었다. 올해 들어 약 40억원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향후 성장가능성 등을 감안할 때 적자를 메우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A사 이외의 대기업 계열 알뜰폰 사업자 대부분은 올해에도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왜 가입자가 많고 중소 사업자보다 가입자당매출(ARPU)가 높은데 적자에서 허덕이는 것일까.